오대산클라우드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수행/신행Odae mountain Woljeongsa

마음의 달이 아름다운 절
수행의향기

문수성지 오대산 월정사

범일국사(810~889)

범일국사(810~889)

범일梵日은 신라 말 선승禪僧으로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사굴산파闍崛山派의 개산조開山祖이다.


속성은 김씨이고 계림출신으로 품일品日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명주도독을 지낸 김술원(金述元)이며, 어머니는 문씨이다. 태양을 머리 위로 받드는 태몽을 꾸고 13개월 만에 태어났으며, 15세에 출가하여 20세에 구족계를 받았으며 흥덕왕6년(831년) 왕자 김의종(金義宗)과 함께때 당나라로 갔다.
중국의 여러 고승들을 찾아다니던 중 마조도일馬祖道一의 문하인 염관제안鹽官齊安을 만나 성불하는 법을 물었다.
제안이 “도는 닦는 것이 아니라 더럽히지 않는 것이며, 부처나 보살에 대한 소견을 내지 않는 평상의 마음이 곧 도이다.”라고 하였다. 이 말에 범일은 대오(大悟)하였다. 그 뒤, 제안의 문하에서 6년 동안 머물다가 유엄惟儼을 찾아가 선문답을 나누고 크게 인가를 받았다.

844년(문성왕 6)에 무종이 불교를 박해하는 법난法難이 일어나자 상산商山의 산 속에 숨어서 반년가량 지내다 소주韶州에서 6조 혜능(慧能)의 탑에 참배하였고 문성왕 8년(847년) 귀국하여 851년까지 백달산에 머무르며 정진하다 명주도독의 청으로 40여년을 굴산사崛山寺에서 기거하며 후학들을 교화하였다. 그때 경문왕 ,헌강왕, 정강왕이 차례로 국사國師로 받들어 계림으로 모시고자 하였으나 모두 거절하였다.
수도자의 본분에 대해서는 “부처의 뒤를 따르지도 말고 다른 사람의 깨달음도 따르지 말라. 앞뒤 사람을 바라보고 돌아볼 것도 더 이상 닦고 얻을 바도 없는 본래 부처로서의 철두철미한 자기 본분의 자각을 수행의 목표로 삼을 것”을 강조하였다.
범일국사가 독특하게 주창한 것으로는 진귀조사설眞歸祖師說이 있다. 진귀조사설은 진성여왕이 불교의 선禪과 교敎의 뜻을 물은 데 대한 대답이다. 석가모니는 태어나자 곧바로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걸으면서 오로지 존귀한 것은 자아(自我)뿐이라고 하였으며, 뒷날 설산으로 들어가 수행하다가 새벽 샛별을 보고 진리를 깨달았으나 궁극의 경지가 아님을 느꼈다.
그 뒤, 진귀조사를 만나 교 밖에 따로 전하는 선지禪旨를 얻고 대오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신라의 무염無染이 ≪능가경 楞伽經≫을 배우다 조사의 길이 아니라고 하여 이를 버리고 당나라로 가서 선법을 익힌 것이나, 도윤道允이 ≪화엄경≫을 읽다가 심인心印의 법과 같지 않다 하고 당나라로 가서 선을 공부한 것 등이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석가모니가 샛별을 보고 도를 깨우친 뒤 진귀조사에게서 선을 배웠다는 것은 불교의 정설에는 없는 것이며, 중국 선종의 초조 달마의 밀록密錄에만 있는 것이라고 하여 여러 가지 의문점을 남기고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후기에 와서 크게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여래선如來禪과 조사선祖師禪에 대한 구별이 범일에 의해서 처음으로 제시되었다는 사실만은 주목되는 일이다. 임종 직전에 “내 이제 영결하고자 하니 세속의 부질없는 정분으로 어지러이 상심하지 말 것이며, 모름지기 스스로의 마음을 지켜 큰 뜻을 깨뜨리지 말라.”고 당부한 뒤 입적하였다.
889년 세수 80세, 법랍 60세로 입적하였다. 시호는 통효대사通曉大師이며, 탑호는 연휘延徽이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행적行寂과 개청開淸이 있다.

25318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팩스 : 033)332-6915
COPYRIGHT ⓒ 2016 오대산월정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