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내청 조선왕실의궤는 복제본" 논란(문화일보)_2010.12.02(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10-12-03 09:04 조회7,759회 댓글0건본문
日 반환 반대의견 무마용?
한·일도서협정의 연내 일본 의회 비준이 무산된 가운데 2일 아사히(朝日)신문이 궁내청이 보관중인 조선왕실의궤가 원본이 아니라 보관용 복제본이라고 보도하면서 일본에서 조선의궤 ‘원본’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전문가들은 조선시대 왕실의궤는 왕을 위한 어제본과 관청 보관용 분산본이 함께 제작됐고, 이들 모두 ‘원본’이라며 일본의 ‘원본’논란은 의궤 반환에 대한 일본내 반대 의견을 무마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했다.
2일 아사히는 일본이 한국에 반환하기로 한 1205책의 도서 중 조선왕실의궤 167책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일본에 있는 것은 복제본이며 원본은 제3국에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자민당의 사토 마사히사(佐藤正久) 참의원 의원은 지난 10월 정부에 “일본에 있는 조선왕실의궤가 원본이 아니라 복제본인가”라고 공식 질의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2일 답변서에서 “정부로서도 조선왕실의궤 전체에 대해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답변하기 곤란하다”고 회신했다.
궁내청도 “무엇이 원본이고 무엇이 복제본인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며 “학술 논문에 의하면 멸실을 방지하기 위해 (조선왕실의궤 제작 당시) 복제본을 만들어 분산시켰으며 그 일부가 일본에 건너왔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에 조선왕실의궤가 복제본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은 2일 “이번 논란은 조선왕실의궤에 대한 일본의 이해가 부족한 데서 벌어진 일”이라며 “조선의궤는 왕을 위해 컬러나 제본을 고급스럽게 장식한 어제본 1부와 예조 등 관청에서 보관하는 보관용을 합쳐 많게는 13부까지 대부분 필사했다.(활자본은 진찬·진연의궤 2종뿐) 어제본과 보관용은 모두 원본이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일본측이 어제본을 보관중이라는 ‘제3국’은 프랑스를 염두에 둔 것으로 추정된다”며 “하지만 프랑스의 어제본과 일본 궁내청의 보관용 의궤는 종류가 다른 것”이라며 “(이번 논란은) 조선왕실의궤 반환에 반대하는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복제본’이란 용어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한편 2일 일본신문들은 일본의 제1 야당 자민당이 참의원의 문책 결의를 받은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관방장관이 주도한 한·일도서협정을 처리할 수 없다고 맞서면서 3일 종료되는 이번 임시국회에서 한·일도서협정 비준은 무산됐고, 내년 정기국회로 넘어가게 됐다고 보도했다.
최현미·최영창기자 chm@munhwa.com
한·일도서협정의 연내 일본 의회 비준이 무산된 가운데 2일 아사히(朝日)신문이 궁내청이 보관중인 조선왕실의궤가 원본이 아니라 보관용 복제본이라고 보도하면서 일본에서 조선의궤 ‘원본’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전문가들은 조선시대 왕실의궤는 왕을 위한 어제본과 관청 보관용 분산본이 함께 제작됐고, 이들 모두 ‘원본’이라며 일본의 ‘원본’논란은 의궤 반환에 대한 일본내 반대 의견을 무마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했다.
2일 아사히는 일본이 한국에 반환하기로 한 1205책의 도서 중 조선왕실의궤 167책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일본에 있는 것은 복제본이며 원본은 제3국에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자민당의 사토 마사히사(佐藤正久) 참의원 의원은 지난 10월 정부에 “일본에 있는 조선왕실의궤가 원본이 아니라 복제본인가”라고 공식 질의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2일 답변서에서 “정부로서도 조선왕실의궤 전체에 대해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답변하기 곤란하다”고 회신했다.
궁내청도 “무엇이 원본이고 무엇이 복제본인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며 “학술 논문에 의하면 멸실을 방지하기 위해 (조선왕실의궤 제작 당시) 복제본을 만들어 분산시켰으며 그 일부가 일본에 건너왔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에 조선왕실의궤가 복제본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은 2일 “이번 논란은 조선왕실의궤에 대한 일본의 이해가 부족한 데서 벌어진 일”이라며 “조선의궤는 왕을 위해 컬러나 제본을 고급스럽게 장식한 어제본 1부와 예조 등 관청에서 보관하는 보관용을 합쳐 많게는 13부까지 대부분 필사했다.(활자본은 진찬·진연의궤 2종뿐) 어제본과 보관용은 모두 원본이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일본측이 어제본을 보관중이라는 ‘제3국’은 프랑스를 염두에 둔 것으로 추정된다”며 “하지만 프랑스의 어제본과 일본 궁내청의 보관용 의궤는 종류가 다른 것”이라며 “(이번 논란은) 조선왕실의궤 반환에 반대하는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복제본’이란 용어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한편 2일 일본신문들은 일본의 제1 야당 자민당이 참의원의 문책 결의를 받은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관방장관이 주도한 한·일도서협정을 처리할 수 없다고 맞서면서 3일 종료되는 이번 임시국회에서 한·일도서협정 비준은 무산됐고, 내년 정기국회로 넘어가게 됐다고 보도했다.
최현미·최영창기자 chm@munhw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