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환수위 협상단 조용히 귀국 - 6월2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문화실장 작성일06-08-26 13:57 조회8,588회 댓글0건본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반환에 지대한 공을 세운 조선왕조실록환수위원회(공동의장 월정사 정념스님 봉선사 철안스님 이하 환수위) 제3차 협상단(단장 김원웅 국회의원)이 1일 오후 김포공항을 통해 조용히 귀국했다.
31일 도쿄대가 서울대에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을 반환한다는 기자회견에 앞서 도쿄대와 최종 협상을 통해 그동안의 경과를 보고 받고 협상을 마무리 지은 협상단은 <모든 영광을 온 민족 앞에 돌린다>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실록이 조국에 돌아올 때까지 실록의 소유권이나 관리권에 대해 논쟁을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환수위 자문위원장인 김원웅 의원은 "먼저 실록이 조국에 돌아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누가 될까봐 조용히 귀국하기로 했다"면서 "그러나 도쿄대가 서울대에 실록을 기증하기로 하고 서울대가 이를 수용한 절차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우리가 <조선왕조실록>이 없어서 실록을 되돌려 받겠다는 것이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하면서 "실록 환수에는 과거 우리 민족이 겪었던 쓰라린 식민지배의 잔재를 청산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었던 것이며 실록을 정정당당하게 반환 받았을 때 비로소 민족의 자존심이 서고 양국관계가 우호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 의원은 "서울대 측 일부 인사들이 마치 환수위가 실록의 소유권이나 관리에 목적을 두고 환수를 추진 한 것처럼 몰아가며 일부 언론을 통해 저급한 방어논리를 펴고 있는 것은 유감"이라며 "고위직에 있는 인사와 현직 국사학과 교수까지 나서서 이미 주권을 상실한 통감통치 시절인 1908년에 반포된 칙령에 따라 관리권이 규장각에 있다느니 1911년 총독부 취조국(문화재 약탈을 담당하던 부서)에서 관리권을 행사했기 때문에 규장각에 보관해야한다는 논리에는 이들이 과연 도쿄대 인사들인지 서울대 인사들인지 경악할 수밖에 없다"고 개탄했다.
김 의원은 "이들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가 이미 을사늑약, 정미 7조약, 한일합방 등을 국제법상 이미 원천무효라고 선언한 사실부터 다시 배워야 할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또 김 의원은 "이번에 실록환수 과정의 혼란을 보면서 앞으로 약탈문화재 환수가 역사의식 없이 한건주의로 흐를 수 있다"고 경계하며 "문화재법을 일부 개정해 정식으로 기구를 만들어 진행해야할 필요성을 느낀다"고 말했다.
환수위 간사인 법상스님도 "그런 논리(서울대 교수들의)라면 조선왕조도 없고 총독부도 없는 지금 누가 관리권을 행사해야 하느냐"면서 "실록은 민족의 것이기 때문에 일단 있었던 곳(월정사)으로 돌아온 뒤 국민의 뜻에 따라 최적의 장소에 보관하면 그뿐으로 이런 (소유권과 관리에 관한) 논란 자체가 실록을 정정당당하게 반환 받지 못하고 단 보름 만에 기증이라는 졸속한 절차로 받기로 해서 생긴 부작용들"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또 스님은 "일부 언론들이 일본의 양심세력이 살아있다는 등 오버를 하고 있다"며 "도쿄대가 실록을 반환하기로 한 것은 환수위가 실록 약탈의 객관적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근거로 당시수호총섭(관리자)이였던 월정사가 도쿄대를 상대로 소를 제기하는 것에 부담을 느껴 짜낸 궁여지책임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환수위 한 관계자는 "불교계와 시민단체 등에서 환영식 등을 준비했지만 공적 다툼 등으로 비쳐 실록 반환에 누가 될까봐 만류했다"며 "해방 때 독립군들은 쫓기듯 쓸쓸히 귀국하고 외교가로 돌던 사람들이 화려하게 등장했던 것처럼 끝없이 반복되는 역사의 우연이 새삼스럽지 않지만 환수위의 업적은 역사가 평가 할 것"이라며 공항을 빠져 나갔다.
실록환수를 지난 3월 3일 출범해 3개월 만에 실록반환에 실질적 공을 세운 환수위는 빠른 시간 안에 국회에서 '조선왕조실록환수위원회'와 '조선완조실록 되찾기 국회의원모임' 공동으로 '경과보고회'를 연 뒤 실록반환이 끝나면 해단할 예정이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