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다 함께 더 많이 나누시게… 겨울 山寺의 ‘김장 수행’ > 언론에 비친 월정사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소통Odae mountain Woljeongsa

마음의 달이 아름다운 절
언론에 비친 월정사

언론에 비친 월정사

[서울신문] 다 함께 더 많이 나누시게… 겨울 山寺의 ‘김장 수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19-11-15 08:44 조회5,202회 댓글0건

본문

 


[포토다큐] 천년고찰의 울력, 오대산 월정사 김장하는 날

 

오대산 월정사 공양간 마당에서 김장울력이 한창이다. 수행자와 신도들이 같이하는 김장은 산사에서 겨울을 준비하는 데 가장 공을 들이는 대표적인 ‘울력품목’이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오대산 월정사 공양간 마당에서 김장울력이 한창이다. 수행자와 신도들이 같이하는 김장은 산사에서 겨울을 준비하는 데 가장 공을 들이는 대표적인 ‘울력품목’이다.

산사(山寺)의 가을이 저물어 가고, 계절은 자연의 순리와 함께 시간의 무상(無常)함을 정직하게 알려 주고 있다. 이맘때 절집은 김장으로 분주해진다. 스님들이 수행에 정진하는 동안거(冬安居)의 결제일을 앞두고 천년고찰인 오대산 월정사에서도 겨울을 나기 위한 채비가 한창이다. 시대가 바뀌어 난방을 위한 장작 마련 등은 전기로 바뀌었다. 하지만 찬바람을 막기 위해 문풍지를 달고, 폭설에 대비해 싸리비를 마련하고, 일 년 동안 먹거리인 김장을 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다.
사찰 김장의 양념으로는 표고버섯과 다시마, 무를 가마솥에 넣고 장시간 끓인 채수를 사용한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사찰 김장의 양념으로는 표고버섯과 다시마, 무를 가마솥에 넣고 장시간 끓인 채수를 사용한다.

●배추·무 수확부터 양념까지 사흘 동안 100여명의 수행자·신도들이 함께 작업

그중에서도 수행자와 신도들이 같이하는 김장은 산사에서 겨울을 준비하는 데 가장 공을 들이는 대표적인 ‘울력품목’이다. 월정사 주지인 퇴우 정념 스님은 ‘울력’이 ‘수행의 중요한 한 과정’이라면서 “울력 소리가 들리면 송장도 일어난다는 우스갯말이 있듯이 절집 공동체 생활의 중심이며 일일부작 일일불식(一日不作 一日不食)이라는 선종(禪宗)의 수행준칙과 육화(六和)정신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일일이 썰어서 만드는 무채.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일일이 썰어서 만드는 무채.

공양간에서 양념소의 재료인 청각을 다지는 스님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공양간에서 양념소의 재료인 청각을 다지는 스님들.

월정사의 김장울력은 사흘 동안 100여명의 수행자와 신도들이 몸과 마음을 합해 이뤄진다. 절 앞 텃밭에서 직접 재배한 배추와 무 등의 재료를 수확하는 일부터 시작이다. 정성껏 재배한 3000여 포기의 배추를 수확한 뒤 손질해 공양간 앞마당에 가득히 쌓아둔다. 이튿날부터 본격적인 김장울력이 시작된다. 수행자와 신도들이 둘러앉아 일일이 배추와 무를 절이고 양념 재료를 손질한다. 그다음 공양간 마당의 절임 칸에서 하룻밤을 지낸다. 절집 김장의 ‘숙련자’들은 공양간 한편에서 배추에 넣을 양념소를 만든다.
김장울력에 동참한 신도들의 손놀림이 활기차다.

▲ 김장울력에 동참한 신도들의 손놀림이 활기차다.

●젓갈·육수·액젓 대신 표고버섯·다시마·무를 장시간 끓인 채수(菜水) 사용

절집의 김장은 속세와 많이 다르다. 김치의 내용물에 일체의 육류를 금한다. 젓갈이나 육수, 액젓 등을 대신해 표고버섯과 다시마, 무를 가마솥에 넣고 장시간 끓인 채수(菜水)를 사용한다. 양념소에도 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등 오신채(五辛菜)와 양파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성질이 맵고, 향이 강하기 때문에 마음을 흩뜨려 수행에 방해가 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 대신 무, 배, 청각, 양념갓, 통깨, 생강, 찹쌀풀 등을 쓴다. 30여년 동안 월정사를 다닌 안심도 보살은 가마솥에 재료를 넣으며 “십수년 전부터 채수를 끓여 왔다. 울력은 나눔과 자비를 실천하는 일 같아서 정성을 다해 기쁜 마음으로 동참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운 감자와 고구마는 김장울력 도중에 맛보는 별미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구운 감자와 고구마는 김장울력 도중에 맛보는 별미다.

절여진 배추와 무는 공양간 마당에서 하룻밤을 지낸다.

▲ 절여진 배추와 무는 공양간 마당에서 하룻밤을 지낸다.

입동(立冬)인 마지막 날은 공양간 마당에 장작불을 더 많이 피워 차가운 아침 공기를 데우는 것으로 시작한다. 절인 배추를 지하수로 다시 씻어 내고 한쪽으로 옮겨 물기를 뺀다. 공양간에서는 준비된 양념소를 섞는 작업이 한창이다. 오후까지 이어진 작업은 무척이나 요란하다. 완성된 양념소를 큰 통에 넣어 나르고, 공양간을 가득 채운 탁자 위에 쌓인 배추에 잘 버무려진 양념소를 골고루 발라 준다. 수행자들과 처사들은 무거운 배추통을 묶고 저장고로 옮기느라 여념이 없다. 이렇게 한 해 먹을 김장 김치가 완성된 것이다. 가을 하늘이 어둑할 무렵 저장고에는 울력의 풍성함과 자비와 나눔의 마음이 가득 채워졌다.

산사는 다시 수행자들의 공간으로 돌아가고, 스님들의 법고(法鼓) 소리만 밤을 가득 메운다.

글 사진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