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보신문]월정사, 이번엔 정부 상대로 ‘실록·의궤’ 환수운동 펼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21-05-03 13:10 조회3,466회 댓글0건본문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보인소의궤, 대조선국주상지보,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의 발인반차도. 모두 오대산사고 소장유물이다.
불교계 중심 돼 환수 성공했지만
정부 오대산 반환 차일피일 미뤄
“문화재강탈 일제와 뭐가 다르나”
2019년 ‘실록·의궤 박물관’ 개관
120억원 들여 박물관 지어놨지만
정부가 슬그머니 보낸 건 ‘영인본'
조계종 제4교구본사 월정사(주지 정념 스님)가 일제강점기 반출됐다 우여곡절 끝에 국내로 돌아왔지만 원소장처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오대산본 조선왕조실록·의궤’ 환수 운동에 착수한다.
월정사는 최근 오대산본 실록·의궤 원소장처 반환에 미온적으로 대응하는 정부를 향해 강하게 문제 제기하고 강원도·종교계·시민단체 등을 망라하는 환수위원회를 구성, 반환 운동에 돌입하기로 했다. 대국민 서명운동을 통한 여론 확산으로 대응수위를 점차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월정사 주지 정념 스님은
월정사는 최근 오대산본 실록·의궤 원소장처 반환에 미온적으로 대응하는 정부를 향해 강하게 문제 제기하고 강원도·종교계·시민단체 등을 망라하는 환수위원회를 구성, 반환 운동에 돌입하기로 했다. 대국민 서명운동을 통한 여론 확산으로 대응수위를 점차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월정사 주지 정념 스님은
“불교계를 중심으로 구성된 실록·의궤 환수위원회의 노력으로 오대산본 실록·의궤가 국내로 돌아올 수 있었지만 정부가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실록·의궤를 이동시킨 후 영인본(복사본)만 내밀고 있다”
“중앙과 지방 간 문화분권이 절실한 시대에 지방문화재를 쥐고 내놓지 않는 것은 시대에 한참 뒤처지는 행동”이라며 질타했다.
“실록·의궤 반환 문제를 계속 외면할 경우 불교계·시민단체 등과 연대해 대정부 강경 대응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대산본 조선왕조실록·의궤’는 임진왜란 직후 왕실에서 실록 등을 보존하기 위해 건립한 조선후기 4사고 가운데 하나인 오대산사고에 소장돼 있던 유물이었다. 당시 왕실은 월정사를 오대산사고 수호사찰로 지정하고 주지에게 ‘실록수호총섭’이라는 직위를 내려 실질적 관리 책임권을 부여했다. 이에 따라 월정사는 오대산사고 인근에 영감사(靈鑑寺)를 지어 실록 등 왕실 기록물들을 관리했다. 스님 20여명이 상주했고 실록 보존처리를 위해 바람을 쐬고 햇볕에 말리는 포쇄(曝)도 수시로 행했다.
그러나 오대산본 조선왕조실록·의궤 등은 일제강점기를 맞으며 큰 시련을 맞았다. 특히 실록은 오대산사고에 소장돼 있다 1913년 일제에 의해 밀반출됐으며, 1923년 일본 관동지방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대부분이 소실됐다. 그러다 2006년경 오대산사고본 중 47책이 일본 도쿄대학 귀중서고에 보관돼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불교계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반환운동이 시작됐다.
오대산본 조선왕조실록과 의궤 반환은 월정사 등 불교계가 시민단체, 정치권과 연대해 밀반출된 우리 문화재를 되찾은 외교적 노력의 성과로 평가됐다. 당시 활동사진.
월정사 등은 시민단체·정치권과 ‘조선왕조실록 환수위원회’를 구성, 일본 측에 강하게 반환을 요구했다. 일제가 오대산본 실록을 약탈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를 제시했고, 이는 국제법상 명백한 불법행위임을 강조하면서 일본 측을 압박했다. 결국 도쿄대학 측은 2006년 7월 서울대 규장각을 통해 조선왕조실록 47책을 반환했다.
이런 가운데 월정사 측은 조선시대 왕실의 주요의식과 행사의 준비과정 등을 상세히 기록한 ‘조선왕조의궤’도 일본 궁내청 서릉부에 소장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다시 환수위원회를 구성, 주지 정념 스님은 일본 궁내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오대산본 조선왕조실록·의궤’는 임진왜란 직후 왕실에서 실록 등을 보존하기 위해 건립한 조선후기 4사고 가운데 하나인 오대산사고에 소장돼 있던 유물이었다. 당시 왕실은 월정사를 오대산사고 수호사찰로 지정하고 주지에게 ‘실록수호총섭’이라는 직위를 내려 실질적 관리 책임권을 부여했다. 이에 따라 월정사는 오대산사고 인근에 영감사(靈鑑寺)를 지어 실록 등 왕실 기록물들을 관리했다. 스님 20여명이 상주했고 실록 보존처리를 위해 바람을 쐬고 햇볕에 말리는 포쇄(曝)도 수시로 행했다.
그러나 오대산본 조선왕조실록·의궤 등은 일제강점기를 맞으며 큰 시련을 맞았다. 특히 실록은 오대산사고에 소장돼 있다 1913년 일제에 의해 밀반출됐으며, 1923년 일본 관동지방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대부분이 소실됐다. 그러다 2006년경 오대산사고본 중 47책이 일본 도쿄대학 귀중서고에 보관돼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불교계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반환운동이 시작됐다.
오대산본 조선왕조실록과 의궤 반환은 월정사 등 불교계가 시민단체, 정치권과 연대해 밀반출된 우리 문화재를 되찾은 외교적 노력의 성과로 평가됐다. 당시 활동사진.
월정사 등은 시민단체·정치권과 ‘조선왕조실록 환수위원회’를 구성, 일본 측에 강하게 반환을 요구했다. 일제가 오대산본 실록을 약탈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를 제시했고, 이는 국제법상 명백한 불법행위임을 강조하면서 일본 측을 압박했다. 결국 도쿄대학 측은 2006년 7월 서울대 규장각을 통해 조선왕조실록 47책을 반환했다.
이런 가운데 월정사 측은 조선시대 왕실의 주요의식과 행사의 준비과정 등을 상세히 기록한 ‘조선왕조의궤’도 일본 궁내청 서릉부에 소장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다시 환수위원회를 구성, 주지 정념 스님은 일본 궁내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당시 환수위원회는 일본 측에 “‘문화재의 원산국 반환’이라는 유네스코 정신이 책임감 있게 구현돼야 한다”며 조속한 반환을 촉구했다.
또 5년 간 40여 차례 일본과 프랑스 유네스코 본부를 방문하며 환수 필요성을 각인시켰다.
또 5년 간 40여 차례 일본과 프랑스 유네스코 본부를 방문하며 환수 필요성을 각인시켰다.
조계종 중앙신도회 문화재환수위원회, 문화재제차리찾기 후원회, 북한 조선불교도연맹, 일본 일조협회 등 시민단체도 힘을 보탰다. 결국 일본 총리는 2011년 12월 조선왕조의궤를 비롯해 역사서, 문집 등 서책 1205권을 반환했다. 오대산본 조선왕조실록과 의궤 반환은 월정사 등 불교계가 시민단체, 정치권과 연대해 밀반출된 우리 문화재를 되찾은 외교적 노력의 성과로 평가됐다.
우여곡절 끝에 국내로 돌아왔지만 ‘오대산본 왕조실록·의궤’는 여전히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일본으로부터 문화재를 반환 받은 정부는 월정사에 문화재를 지키고 보존할 수 있는 시설이 없다는 이유로 오대산본 왕조실록·의궤를 원소장처가 아닌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토록 했다.
우여곡절 끝에 국내로 돌아왔지만 ‘오대산본 왕조실록·의궤’는 여전히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일본으로부터 문화재를 반환 받은 정부는 월정사에 문화재를 지키고 보존할 수 있는 시설이 없다는 이유로 오대산본 왕조실록·의궤를 원소장처가 아닌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토록 했다.
2019년 10월 사찰 인근에 보안시스템과 최적의 문화재관리 시설을 갖춘 왕조실록·의궤박물관을 건립했다. 120억원의 예산이 소요된 박물관 건립에 국비 65억원도 투입됐다
이에 따라 월정사 측은 2019년 10월 사찰 인근에 보안시스템과 최적의 문화재관리 시설을 갖춘 왕조실록·의궤박물관을 건립했다. 120억원의 예산이 소요된 박물관 건립에 국비 65억원도 투입됐다. 이는 정부가 박물관이 건립되면 오대산본 왕조실록·의궤를 돌려주겠다는 간접적인 의사표현으로 해석됐다.
박물관 개관식에서 정념 스님은 “각고의 노력으로 돌아온 문화재가 이제는 제자리를 찾아 지역의 문화로 꽃피울 수 있도록 힘을 모아 달라”고 했고, 최문순 강원도지사도 “선대의 혼이 담긴 문화재가 제자리에 봉안돼야 문화유산으로서의 온전한 가치를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박물관이 개관된 이후 1년 반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정부는 여전히 오대산본 왕조실록·의궤 반환 문제를 미루고 있다. 월정사 측에 오대산본 실록 영인본만 슬그머니 보냈을 뿐이다. 월정사 측이 “뚜렷한 이유 없이 문화재를 반환하지 않는 정부가 일제강점기 문화재를 강탈한 일제와 다를 게 뭐냐”며 강한 불만을 내놓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념 스님은 “오대산본 왕조실록과 의궤에는 오대산사고를 수호하고자 했던 스님들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며 “민간차원의 반환 운동으로 환지본처한 좋은 선례인데 정부가 큰 뜻을 못 살리고 있다. 지방문화재는 지방으로 문화 분권화해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지방의 아이콘으로 만들어갈 수도 있음에도 그런 정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러나 박물관이 개관된 이후 1년 반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정부는 여전히 오대산본 왕조실록·의궤 반환 문제를 미루고 있다. 월정사 측에 오대산본 실록 영인본만 슬그머니 보냈을 뿐이다. 월정사 측이 “뚜렷한 이유 없이 문화재를 반환하지 않는 정부가 일제강점기 문화재를 강탈한 일제와 다를 게 뭐냐”며 강한 불만을 내놓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념 스님은 “오대산본 왕조실록과 의궤에는 오대산사고를 수호하고자 했던 스님들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며 “민간차원의 반환 운동으로 환지본처한 좋은 선례인데 정부가 큰 뜻을 못 살리고 있다. 지방문화재는 지방으로 문화 분권화해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지방의 아이콘으로 만들어갈 수도 있음에도 그런 정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