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울음소리를 본떠 ‘에밀레종’이라 불렀다는 성덕대왕신종(국보 29호) 이야기, 목숨을 구해준 선비의 은혜를 갚기 위해 제 머리로 종(치악산 상원사종)을 치고 죽은 까치 이야기, 가난하여 노모를 제대로 모시지 못하자 아이를 내다 버리려 한 효자가 부처의 은덕으로 아이도 살리고 가난에서 벗어났다는 홍효사 석종 이야기…. 기억을 더듬어보면 어린 시절 읽은 동화책에는 종과 관련된 재미난 이야기들이 있었다.
국내 유일의 종 박물관…성덕대왕신종·상원사종 재현
문학 숨쉬는 정송강사 김유신 탄생지 등 볼거리 다양
진천 종박물관은 이처럼 흥미로운 설화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가치를 인정받는 한국 범종의 역사와 특징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전시하고, 한국 종을 연구·수집·보존할 목적으로 개관한 국내 유일의 종 전문 박물관이다.
‘역사 속의 종’
한 자리에
2층 규모의 박물관은 외관부터 한국 종을 빼닮았다. 항아리를 뒤집어놓은 듯한 유리 구조물은 종의 기본 형태를, 그 오른쪽으로 음파가 퍼져 나가는 듯한 굴곡은 맥놀이를 형상화한 것이다. 맥놀이란 진동수가 다른 두 소리가 서로 간섭하며 작아졌다 커졌다 하는 현상으로, 한국 범종의 특징이다.
전시실 입구에서 처음 만나는 것은 현존하는 고대 범종 가운데 가장 큰 성덕대왕신종(통일신라, 771년)을 실물 크기로 재현한 것. 쇳물 주조 과정을 마치고 거대한 거푸집을 떼어내는 장면을 연출해 종의 탄생을 표현했다.
1층 제1전시실에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맥이 끊긴 밀랍 주조 공법으로 복원·복제한 문화재급 고대 범종이 즐비하다. 통일신라, 고려, 조선을 대표하는 이 종들은 중요무형문화재 112호인 주철장(鑄鐵匠) 원광식 선생이 기증한 작품이다. 50여 년 동안 만든 크고 작은 종이 무려 7000여 개에 이른다고. 2005년 화재로 소실된 양양 낙산사 동종 복원도, 매년 1월1일 새해를 알리는 보신각종 제작도 원광식 장인의 손을 거쳤다.
한국 범종의 전형으로 최고의 예술미를 자랑하는 통일신라, 전 시대의 양식을 이어받으면서도 현실적인 조형미를 보여주는 고려, 중국 종의 형식이 결합된 조선, 전형적인 일본 종의 형태로 제작된 근대, 한국 종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기 위한 과도기인 1970년대까지 관람을 마치면 시대별 범종의 특징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다.
관람 동선은 2층으로 이어진다. 한국 종 제작기법인 밀랍 주조 공법과 중국 남방 계통이나 일본 종 제작기법인 사형 주조 기법의 다른 점, 밀랍 주조 공법으로 종을 만드는 과정을 알기 쉽게 전시했다. 종과 관련된 설화, 지구촌의 종소리, 일상에서 쓰이는 다양한 종소리도 체험할 수 있다.
다음은 세계의 종 전시실이다. 인물 종, 데스크 벨, 유리 종 등 여러 가지 종을 매년 새로운 시리즈로 선보이는 이 전시는 한국의 범종 못지않게 흥미진진하다. 말안장에 장식해 말이 움직일 때마다 소리를 내는 행진용 의례 종, 20세기 러시아의 토이 벨, 자명종 등 귀엽고 앙증맞은 종이 가득하다.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무도회에서 쓰던 가면의 축소품에는 장식용 방울이 있어 흔들면 딸랑딸랑 소리가 난다고 한다. 내부에 추가 있어 칵테일을 혼합하기 위해 흔들면 소리가 나는 셰이커, 붉은색 칵테일 잔 손잡이 아랫부분에 금속 추를 달아 마신 뒤 흔들면 소리가 나는 1960~1970년대 미국 제품도 인상적이다.
다양한 세계의 종을 경험한 뒤에는 1층으로 내려가 개관 7주년 기념 국보 36호 상원사 동종 <천년에 얽힌 이야기전>을 관람하자. 상원사 동종은 현존하는 고대 범종 가운데 가장 오래된 종이다. 전시는 성덕왕 24년(725년)에 제작되어 한국전쟁 당시 월정사가 소실되는 와중에도 기적적으로 화마를 피한 사연, 천년의 울림을 멈추고 휴식기에 들어간 안타까운 사연, 원광식 장인에 의해 전통 기법으로 다시 태어난 사연으로 이어진다. 개관 7주년 기념전은 3월 말까지 계속된다.
진천 종박물관 관람 전후 들러볼 만한 연계관광지로는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사적 414호), 보탑사, 진천 정송강사(충청북도 기념물 9호), 진천 농다리(충청북도유형문화재 28호), 진천 덕산양조장(등록문화재 58호) 등이 있다.
김유신 장군은 가야국 왕족 출신으로, 아버지 김서현이 진천(옛 이름은 만노군)의 태수였다. 무덤이 경주에 있어 많은 이들이 탄생지도 경주라고 생각하는데, 진천이 고향이다. 계양마을 입구 장군터라 불리는 곳에 1983년 유허비가 건립되었으며, 태령산(해발 461.8m) 정상에 태실이 있다.
보탑사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3층 목탑 때문이다. 1992년 불사를 시작해 1996년에 완공된 이 목탑은 황룡사 9층 목탑을 이어받았으며, 내부 계단으로 1층부터 3층까지 오르내릴 수 있다. 삼국시대 이후 단절된 ‘오를 수 있는 탑’의 전통을 현대에 재현한 것이다. 불사에는 한국 전통 건축의 대가 신영훈 대목이 참여했다.
연계 관광지
전통·이야기 가득
진천 정송강사는 ‘가사 문학의 대가’ 송강 정철(1536~1593년)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신도비가 있는 입구를 지나면 시비가 나오고, 이어 사당과 유물 전시관이 있다. 입구에서 왼쪽으로 산길을 조금 오르면 송강과 그 둘째 아들의 묘소가 위아래로 자리 잡고 있다.
돌을 깎거나 다듬지 않고 원래 모양 그대로 쌓아 만든 진천 농다리는 허술해 보여도 천년을 이어온 진천의 자랑이다. 10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총 28칸으로 구성되었다. 다리 건너 언덕을 오르면 저수지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정자와 산책로가 있다. 구불구불한 모양새 때문에 ‘지네 다리’라고도 불린다.
1930년에 건립된 덕산양조장은 양조장 건물로는 유일하게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단층 합각지붕 목조건축물이다. 지금도 3대째 가업을 이어 전통 막걸리를 만든다. 예약하면 전시 시음관을 견학하고, 막걸리와 빈대떡을 맛볼 수 있다.
자료출처 : 한국관광공사
www.visitkorea.or.kr
여행정보
당일 여행 코스
김유신 탄생지 → 보탑사 → 진천종박물관 → 진천 농다리
1박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김유신 탄생지 → 보탑사 → 진천 정송강사
둘째 날 : 진천종박물관 → 진천 덕산양조장 → 진천 농다리
여행 정보
●진천군 문화관광 www.jincheon.go.kr
●진천종박물관 www.jincheonbell.net
●진천 덕산양조장(세왕주조) www.icnj.co.kr
문의 전화
●진천군청 문화체육과 043)539-3623
●진천종박물관 043)539-3847
●보탑사 043)533-6865
●진천 덕산양조장(세왕주조) 043)536-3567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진천, 20~30분 간격(06:30~20:30)으로 운행, 1시간 40분 소요.
※문의 :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www.ti21.co.kr 진천버스터미널 043)533-2376
자가운전 정보
중부고속도로 → 진천 IC → 좌회전 후 성석사거리 우회전 → 벽암사거리 좌회전 → 백곡저수지 방향 직진 → 장관교 지나 좌회전
숙박 정보
●아랑훼스펜션 : 이월면 화산동길, 043)536-3366, www.aranghwese.com
●별빛고운언덕펜션 : 이월면 진안로, 043)536-6114, www.ipension.net
●수호텔 : 진천읍 남산9길, 043)534-5161, www.hotelsoo.co.kr
식당 정보
●느티나무집 : 민물매운탕·닭백숙, 진천읍 백곡로, 043)532-5534
●보림숯불갈비 : 숯불갈비, 진천읍 중앙서로, 043)532-0030
●엄나무에걸린닭 : 누룽지닭죽·누룽지오리죽, 진천읍 금사로, 043)532-8200
●두부촌 : 깻잎두부보쌈·두부전골, 진천읍 금사로, 043)533-9946
●곰가내 : 쌀밥정식, 백곡면 백곡로, 043)532-0767, http://cafe.naver.com/gggooommm
주변 볼거리
길상사, 배티성지, 진천 석장리 유적, 진천 이상설 생가, 초평저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