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에선 팔만대장경 지키고, 루터 목사는 원조 트리 만들고 …(중앙일보) 2014.01.25.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14-01-25 09:22 조회9,710회 댓글0건본문
해인사에선 팔만대장경 지키고, 루터 목사는 원조 트리 만들고 …
박상진의 우리 땅 우리 나무 <2> 전나무
전나무 숲이 만들어내는 수해(樹海). 곧게 자라는 전나무는 예전부터 건물 기둥으로 애용됐다.
전나무는 무리를 이루어 자라기를 좋아한다. 조선 숙종 39년(1713) 부교리(副校理·홍문관의 종5품 관직) 홍치중은 백두산정계비를 답사하고 임금님께 이렇게 보고한다. ‘무산에서 어활강(두만강의 지류)을 건너서 산 밑에 이르니 인가 하나 없는 넓은 땅이 나타났습니다. 백두산과 어활강의 중간에는 전나무가 하늘을 가리어 해를 분간할 수 없는 숲이 거의 3백리에 달했습니다’라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나무 숲으로 이루어진 수해(樹海)를 가리킨다.
이처럼 전나무는 동장군이 기승을 부리는 백두산 일대에서 잎갈나무·가문비나무와 함께 원시림을 이루어낸다.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중부지방을 거쳐 남쪽으로도 거의 한반도 끝까지 내려온다. 금강산 장안사를 비롯하여 전북 부안 내소사, 경북 청도 운문사 등 이름 있는 큰 절에서는 흔히 전나무를 만나게 된다.
지금은 터만 남았지만 경기도 양주 회암사는 전나무와 깊은 관계가 있는 절이다. 회암(檜巖)이란 전나무와 바위란 뜻이다. 조선 초기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규모가 가장 컸던 회암사는 주위에 전나무가 많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여기서 남으로 조금 내려오면 광릉이고 오늘날도 아름드리 전나무 숲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역사와 문화가 서려 있는 전나무 고목으로는 경남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천연기념물 제541호)가 있다. 통일신라시대 최치원 선생이 심었다고 전해지며 키 30m, 둘레가 네 아름에 이른다. 선생의 원래 나무는 죽어버리고 다시 심은 것이며 나이는 250년이 조금 넘었다. 전북 진안 천황사에도 비슷한 크기의 전나무가 천연기념물 제495호로 지정돼 있다.
전나무를 주로 사찰 근처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것도 흥미롭다. 건물을 고쳐 지을 때 기둥으로 쓰기 위해서 일부러 심은 까닭이다. 전나무는 무리를 이루다 보니 빨리 키를 키워야 하므로 한가하게 구불구불 자랄 여유가 없다. 그래서 전나무는 모두 곧은 줄기를 만든다. 재질이 조금 무른 것이 단점이지만 사찰이나 관공서의 웅장한 건축물의 높은 기둥으로 쓰기에 전나무만 한 나무가 없다. 실제로 해인사 팔만대장경판 보관 건물인 수다라장, 양산 통도사, 강진 무위사의 대웅전 기둥 일부가 전나무로 만들어졌다.
전나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늘날에도 쓰임새가 넓다. 한 해가 저물어 가면서 곳곳에 장식된 크리스마스트리는 전나무가 원조다. 마르틴 루터 목사는 하늘에 별이 반짝이는 어느 맑은 밤, 상록수 숲을 걸으면서 별빛에 비춰지는 숲의 아름다움에 깊은 감명을 받는다. 가족들에게 그때의 느낌을 이야기하고 집 안으로 전나무를 가져와 하늘의 별처럼 촛불로 장식했다는 것이다.
또 전나무는 고급 종이 원료로 사랑을 가장 많이 받는다. 목재의 속살은 대체로 황백색에 가까우나, 옛사람들이 ‘백목(白木)’이란 별칭을 붙일 정도로 거의 하얗다. 거기다 세포 하나하나의 길이가 다른 나무보다 훨씬 길다. 따라서 종이를 만들 때 탈색제를 조금만 넣어도 하얀 종이를 얻을 수 있고, 긴 세포는 종이를 더욱 질기게 한다. 전나무 종류로는 분비나무와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구상나무가 있다. 남부지방에는 일본에서 가져다 심은 일본전나무가 자란다.
박상진 경북대 명예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