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클라우드

[중앙일보] 올가을 ‘단풍 끝판왕’ 만나고 싶다면 오대산 천년 옛길로 가라 > 언론에 비친 월정사


소통Odae mountain Woljeongsa

마음의 달이 아름다운 절
언론에 비친 월정사

언론에 비친 월정사

[중앙일보] 올가을 ‘단풍 끝판왕’ 만나고 싶다면 오대산 천년 옛길로 가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월정사 지킴이 작성일20-10-24 14:16 조회1,728회 댓글0건

본문

오대산 선재길 단풍 여행

지금 오대산 선재길은 가을빛이 완연하다. 숲길 곳곳으로 단풍이 드리워 있다.

지금 오대산 선재길은 가을빛이 완연하다. 숲길 곳곳으로 단풍이 드리워 있다.

마음을 달래는 신묘한 힘을 숲은 품고 있다. 울창한 숲에서 한나절 보내는 것보다 위로와 평온을 주는 일도 없을 테다. 울긋불긋 화려한 단풍 숲, 가을빛으로 물든 심심산곡의 암자라면 그 위력이 더 강하다. 강원도 오대산 국립공원. 가을이 깊어진 그 숲길을 걸으며 다시 한번 깨달은 사실이다.
  

국가대표 단풍 코스

월정사 어귀 금강연에도 단풍이 물들었다.

월정사 어귀 금강연에도 단풍이 물들었다.

남녘의 양지바른 들에서부터 북벌하는 봄과 달리, 가을은 북녘의 산머리에서부터 내려온다. 강원도 안쪽으로 들수록 가을 기운이 완연하더니, 오대산은 이미 한가을이었다.  
 
오대산은 전 국민이 다 아는 가을 단풍 명승이다. 이맘때 가을이면 주말 하루 1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드나든다. 뻔한 선택이긴 하나, 그래도 가야 했다. 올가을 한반도의 단풍이 예년만 못해서다. 얼룩덜룩 반만 색이 들었다 말라버리는 경우가 허다한데, 지난여름 잇달았던 큰비와 늦더위의 영향이란다. 단풍도 과일처럼 일조량이 많고, 일교차가 큰 곳을 좋아한다. 서늘한 산골, 습기가 적당하고 볕이 잘 드는 땅에서 선명한 단풍이 만들어지는데, 비가 와도, 너무 많이 와버린 게다. 하여 올가을엔 확실한 단풍 명소로 가야 실패가 없다. 그래서 오대산 선재길이다.   

월정사 금강루 앞으로 단풍이 화려하다. 요즘 월정사를 찾는 이들의 인기 포토존이다.

월정사 금강루 앞으로 단풍이 화려하다. 요즘 월정사를 찾는 이들의 인기 포토존이다.

오대산의 너른 품 한복판에 천 년 고찰 월정사와 말사인 상원사가 있는데, 두 사찰을 잇는 길이 선재길이다. 대략 9㎞ 길이의 숲길이다. 매표소 어귀 월정사 일주문에서 시작해 전나무숲을 거쳐 선재길로 드는 게 보통이다. 1㎞ 길이의 전나무숲은 아름다운 숲길로, TV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 워낙 유명한 장소. 40m 높이의 전나무 2000여 그루가 빼곡히 도열한 채 가을 손님을 맞고 있었다. 월정사 경내도 가을빛이 진했다. 사천왕문과 금강루 사이의 단풍나무가 유난히 붉고 풍성했다.  
 
하나 위용 넘치게 쭉쭉 뻗은 전나무 숲도 이맘때 가을에는 한낱 조연일 뿐이다. 알록달록 단풍이 드리우는 선재길에 비할 바가 아니다. 김재부(48) 오대산국립공원 자연환경해설사가 “훤칠하고 이름난 나무는 없지만, 온갖 잡목이 뿌리 내린 숲길이라 단풍 빛깔이 더 다양하고 화려하다”며 발길을 재촉했다.  
 
본격적인 선재길은 월정사 부도밭 너머 ‘회사거리’서부터. ‘깨달음, 치유의 천년 옛길’이라 새긴 안내판이 선재길에 들었음을 알렸다. 선재길은 뿌리 깊은 옛길이다. 1960년대 말 월정사와 상원사 사이에 도로가 나기 전부터 스님과 신도가 오가던 비밀스러운 숲길이다. 한동안 ‘천 년 옛길’로 불리다, 국립공원공단과 월정사가 옛길을 복원하면서 2013년 ‘선재길’이란 정식 이름을 달았다. 『화엄경』에 등장하는 ‘선재동자’에서 이름을 빌려왔단다.   

일제 강점기 벌목한 나무를 한강으로 띄웠던 보메기. 이맘때 가을 산행객을 위한 최고의 쉼터기도 하다.

일제 강점기 벌목한 나무를 한강으로 띄웠던 보메기. 이맘때 가을 산행객을 위한 최고의 쉼터기도 하다.

오대천을 내내 바라보며 선재길을 걸었다. 사박사박한 흙길, 평탄한 데크길이 대부분이라 단풍 구경하며 산책하듯 걸을 수 있었다. 중간 중간 쉼터가 있었지만, 계곡의 너럭바위에 앉아 여유를 부리는 이들이 더 많았다.  
 
오대천 상류 ‘보메기’는 일제 강점기 자원 수탈의 현장이다. 오대산에서 벌목한 나무를 이곳에서 띄워 한강으로 보냈단다. 그 너른 개울에도 가을에 내려와 있었다. 바람결에 짙푸른 하늘과 붉은 단풍이 시시각각 수면 위를 물들였다. 열목어가 사는 청정 계곡이라는 소리는 들었지만, 수달까지 살고 있는지는 몰랐다. 개울에 드리운 단풍에 넋을 놓고 잇는 순간, 눈 앞에서 수달 가족이 날랜 몸놀림으로 오대천을 휩쓸고 지나갔다. 수달은 야행성이라는데. 먹잇감이 필요했을까, 단풍 놀이에 동참하고 싶었던 걸까. 

월정사와 상원사를 잇는 선재길. 예부터 깨우침을 얻고자 하는 이들이 다지고 밟아 생긴 길이다.

월정사와 상원사를 잇는 선재길. 예부터 깨우침을 얻고자 하는 이들이 다지고 밟아 생긴 길이다.

  

부처 만나러 가는 길

중대 사자암에서 바라본 오대산의 풍경이 그저 곱다. 산세를 따라 계단식으로 지은 절집의 모습도 그림 같다.

중대 사자암에서 바라본 오대산의 풍경이 그저 곱다. 산세를 따라 계단식으로 지은 절집의 모습도 그림 같다.

선재길은 상원사에서 끝나지만, 또 다른 길이 꼬리를 문다. 오대산 정상으로 통하는 비로봉 코스는 산악인보다 불자가 더 많이 오르는 길이다. 상원사의 산내암자인 적멸보궁(보물 제1995호)이 있어서다.  
 
오대산은 이른바 불교 5대 성지로 통한다. 신라의 승려 자장(590~658)이 중국 오대산에서 진신사리(석가모니의 사리) 일부를 가지고 돌아와 비로봉 중턱에 모셨다고 전해지는데, 그곳이 바로 적멸보궁이다. 『삼국유사』에도 그 기록이 남아있다. 선재길이 단풍 명소로 이름을 날리기 전부터 불자들이 그 길을 밟고, 도로를 내 산을 거슬러 올랐던 이유다. ‘적멸’은 불교 용어로 모든 번뇌가 사라진 경지를 뜻한다.
 
상원사에서 적멸보궁(1189m)까지는 대략 1.7㎞의 비탈길. 돌계단과 돌상이 늘어서 있어 길을 헤맬 걱정은 없었다. 단풍은 이미 등산로 초입부터 그윽했다. 30분쯤 걸었을까 적멸보궁의 수호암자인 중대 사자암에 닿았다. 험준한 비로봉 비탈에 절집 다섯 채가 계단식으로 틀어 앉아 속세를 굽어보고 있었다. 가히 울긋불긋한 단풍 숲 위로 암자가 두둥실 떠 있는 형국이었다.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보물 제1995호로 지정됐다.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보물 제1995호로 지정됐다.

예서 적멸보궁까지는 10분이 더 걸렸다. 탐방객이 늘어선 선재길과 달리 부처를 만나러 가는 길은 인적도 없이 적막했다. 아직 하산하지 못한 단풍만이 중생을 반겼다. 적멸보궁은 차림이 소박했다. 작은 불당과 사리탑이 전부. 진신사리를 모신 공간이어서 불상조차 들이지 않았단다. 갖가지 소망을 붙인 연등만이 불당에 매달려 요란히 흔들렸다.  
 
적멸보궁과 중대 사자암에서 바라본 오대산은 산에서 내려온 뒤에도 좀처럼 잊히지 않았다. 그저 깊고도 고요했다. 화려하진 않지만, 온화한 가을빛을 내고 있었다. 
 
평창=글·사진 백종현 기자 baek.jognhyung@joongang.co.kr 

여행정보
오대산 국립공원이 안내하는 선재길 탐방 난이도는 ‘쉬움’이다. 그래도 왕복으로 걸으려면 7시간이 족히 걸린다. 월정사나 상원사 주차장에 차를 대고 선재길을 탐방한 뒤 버스를 타고 원점 회귀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약 1시간 간격으로 시내버스가 오간다. 선재길 가운데 상원사~동피골(3.6㎞) 구간은 지난여름 잇단 태풍으로 일부 탐방로가 유실됐다. 이 구간은 도로변으로 빠져나와 걸어야 한다. 월정사에서 문화재 보호 명목으로 입장료(어른 5000원)와 주차비(5000원)를 받는다.



[출처: 중앙일보] 올가을 ‘단풍 끝판왕’ 만나고 싶다면 오대산 천년 옛길로 가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318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팩스 : 033)332-6915
COPYRIGHT ⓒ 2016 오대산월정사. ALL RIGHTS RESERVED.